안녕하세요 목장지기입니다~
이번 시간엔 간단하게 용적률과 용도지역에 대해서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볼게요~
용도 지역과 용적률을 파악해야 하는 이유로는 다양한 이유가 있겠지만 재건축 재개발 투자와 신축사업을 진행함에 있어서 필수적으로 꼭 확인해야 할 중요한 요소입니다.
투자함에 있어서 기본 중에 기본이지만 잘 모르시는 분들이 생각보다 많은 거 같습니다.
이 부분을 놓치고 투자하시는 낭패를 겪지 않으셨으면 합니다.

이 표에서 처럼 용도지역 안에 용적률의 범위가 있습니다. 지자체마다 가능한 적용 용적률 범위는 차이가 있습니다.
제1종 주거지역보단 제2종 주거지역이 더 많은 용적률을 사용할 수 있어 사업성에 유리합니다.
그렇다면 용적률은 무엇을 뜻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.


여기서 용적률 계산법은 (연면적/대지면적)*100이 용적률 계산법입니다.
여기서 연면적이란 지하층을 제외한 지상층만 면적의 합을 뜻하며
참고로 초고층 경사져있는 지붕 밑 설치한 대피 공안, 건물 내 피난구역 등은 연면적에서 제외 대상입니다.
용도지역과 용적률이 왜 중요한지에 대해서 예를 들어 설명해 보자면
사용 가능한 용적률이 높아야 건물을 높게 지을 수 있습니다.
일반적으로 내가 투자한 아파트의 용도지역이 제2종 일반주거지역이면 250%까지 용적률이 가능합니다.
하지만 제3종 일반주거지역이라면 300%까지 가능합니다. 이것은 똑같은 땅에 더 높은 건물을 지을수 있다는 뜻입니다.
경우에 따라서 종상향도 가능하지만 일반적으로 내가 재건축을 보고 아파트를 투자한다면 용도지역은 꼭 확인해야 합니다. 똑같은 땅 크기에 건물을 더 높게 건축하면 일반분양을 더 많이 할 수 있게 되고 그만큼 분담금은 줄게 되는 것이죠.
건물 신축도 마찬가지입니다. 똑같은 땅에서 건물을 더 높게 건축할 수 있으며 더 많은 세대가 가능하기에 사업성이 올라가죠. ( 물론 다세대와 다가구는 층수 제한과 세대수 제한이 있습니다)
궁금하신 사항은 댓글 달아주세요~
'부동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한 필지 안에 두개의 용도지역 적용법 및 계산법 (0) | 2022.11.04 |
---|---|
호갱노노 부동산 실거래가 어플 사용법 및 활용 Tip (0) | 2022.11.03 |
댓글